<알비노의 탱크 바이에슬론에 참가한 T-72B3 전차>




개발의 역사

1953, 소련은 T-55를 대체할 신예 전차 개발 사업을 시작했다. 이때 UVZ(Uralvagonzavod)는 기존 전차를 개량하는 방식의 제140계획(Object 140), KMDB는 전혀 새로운 개념의 전차인 제430계획을 각각 당국에 제안했다. 1957프로토타입(prototype)을 놓고 이루어진 최종 평가에서 제430계획이 차기 전차 후보로 낙점받았다하지만 제430계획은 당대를 초월했다는 평가를 받을 만큼 너무 많은 신기술을 접목하다 보니 개발에 난항을 겪었다.
결국 예정된 기간 내에 완성될 가능성이 보이지 않자당장의 전력 공백을 막기 위해 제430계획의 진행과 별개로 폐기시켰던 제140계획을 바탕으로 기존 T-55 자체에 115mm 활강포를 접목하는 방식의 제165계획을 추가로 실시했다그렇게 탄생하여 1961년부터 일선에 배치된 전차가 T-62. T-62 그럭저럭 쓸 만했지만 제430계획이 완성되기 전까지만 주력 전차로 사용되는 임시변통의 성격이 컸다.
1964년 마침내 제430계획이 완료되어 T-64 전차가 양산되기 시작했다. 지만 값만 비쌌지 기대와 달리 고질적인 잔고장과 툭하면 발생하는 결함 때문에 일선에서의 반응은 좋지 않았다특히 엔진의 신뢰성이 몹시 떨어져서 T-62가 계속 주력 전차 노릇을 해야 했다결국 새로운 신예 전차의 개발이 곧바로 이어져야 할 상황이었다이에 UVZ는 T-64를 하청생산하며 얻은 기술력을 응용한 제172계획을 구상했다.
핵심은 화력을 비롯한 T-64의 공격 능력은 그대로 유지하되 문제가 많았던 엔진이나 현수장치 같은 부분은 검증된 기존 기술을 최대한 사용하는 방식이었다덕분에 개발에 걸리는 시간도 대폭 단축할 수 있었다이러한 과정을 거쳐 1968년 프로토타입이 완성된 전차가 T-72각종 실험 결과장점은 T-64에 못지않지만 오히려 신뢰성이 더 높다는 평가를 받고 1973년부터 양산이 시작되어 본격 배치되었다.




특징

T-72 T-64와 동일한 125mm 2A46M 활강포를 주포로 채택했다이 포의 특징 중 하나가 각종 규격의 전차포탄 외에도 9M119 또는 9K120 대전차 미사일 같은 유도무기의 발사가 가능하다는 점이다덕분에 서방의 전차포에 비해 구경만 크다는 평가를 받은 소련 전차의 공격력을 대폭 향상시켰다.
T-72탄두와 장약을 모두 수평으로 수납하는 회전 드럼식 캐로젤 자동장전장치(Carousel Automatic Reloading System)를 채택했다처음에는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지만최신형은 13초에 3발까지 포탄을 발사할 수 있을 만큼 성능이 크게 개선되었다하지만 전차 내부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여 승무원의 거주성이 나빠지도록 만든 원인으로 지적된다.


T-72는 포탑이나 차체 전면 같은 곳에 복합장갑을 설치하여 두께가 200mm 정도지만 500mm의 압연 장갑판에 필적하는 방어력을 갖추었다복합장갑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오래전부터 이루어졌으나 이를 최초로 적용한 전차는 T-64였다. T-72는 곧바로 이를 응용하여 개발에 걸리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었다또한 성형작약탄 공격에 대비한 반응장갑의 추가 장착이 가능하다.
T-64의 가장 큰 문제가 엔진이었기 때문에 UVZ는 기존에 사용하던 디젤엔진을 베이스로 개량한 모델을 장착하여 신뢰성을 높였다초기형 T-72에 장착된 V-12 엔진은 780마력에 불과했지만전차의 무게가 가벼워서 야지 주행에 그다지 지장은 없었다이처럼 탄생 직후 T-72는 공격력방어력기동력의 모든 분야에서 소련은 물론 서방에서도 당대 최고라는 평가를 받았다.




변형 및 파생형

● T-72 우랄(Ural)(172M계획): TPD-2-49 광학식 거리측정기와 단순화한 사통장치를 사용한 최초 양산형

● T-72A: 사이드 스커트(Side Skirt), 포수용 조준경에 통합된 레이저 거리측정기, 연막탄 발사기 등을 장비한 개량형

● T-72B: 2A46M 신형 주포전면부 복합장갑신형 1A40T 사통장치 등을 장착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고 9K119 대전차 미사일 발사 능력을 보유한 개량형

● T-72B2: 3세대 폭발반응장갑, 1,000마력 V-92 엔진, 적외선형 야간사격장치 등을 장착한 개량형
 T-72B3: T-90에 근접한 성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는 최신 모델로 2013년부터 러시아 육군이 채용

● T-72M: 해외 수출 및 면허생산을 위한 다운그레이드형
● T-72M4CZ: 구 체코슬로바키아 ZTS에서 면허생산한 T-72M의 체코 개량형
● M-84: 구 유고슬라비아에서 T-72M을 기반으로 자체 제작한 모델
● M-84A4 /M-92 /M-95: M-84의 크로아티아 개량형
● M-84AS(M-2001): M-84의 세르비아 개량형

● 아제야(Ajeya) MK1/ MK2: 인도 면허생산형 T-72M

● PT-91: 폴란드 부마르 와벵디(Bumar-Łabędy) 사의 면허생산한 T-72M의 개량형



제원(T-72A 기준)

생산업체: 우랄바곤자보드(Uralvagonzavod, UVZ)
도입연도: 1973년 
중량: 41.5
전장: 9.53m
전폭: 3.59m
전고: 2.23m 
장갑: 주조장갑복합장갑반응장갑
무장: 125mm 2A46M 전차포×1
        12.7mm NSVT 중기관총×1 
        7.62mm PKT 동축기관총×1 
엔진: V-12 디젤 780마력(580kW)
추력대비중량: 18.8마력/
서스펜션: 토션 바
항속거리: 약 460km
최고속도: 60km/h
대당 가격: 30,962,000~61,924,000루블(2009)
양산대수: 25,000대 이상


'밀리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잉 F/A-18 E/F 슈퍼 호넷  (0) 2017.12.18

<편대 비행중은 F/A-18E/F의 모습이다.>



개발의 역사

1990년대 초, 냉전이 종식되면서 미국을 비롯 전 세계 각국은 군비 감충 및 군 개편 과정에 들어가고, 그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여러 사업들이 취소 혹은 연기, 축소 되었다.


미 해군은 최초 A-6 인트루더(Intruder) 및 A-7 코르세어 II(Corsair II)가 퇴역함에 따라 맥도넬 더글러스(McDonnell Douglas)/제네럴 다이내믹스(GDGeneral Dynamics)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여 전천후 항모 기반 전투기인 A-12 어벤저(Avenger) II를 1983년부터 개발하기 시작했다. 최초 미 해군은 628대, 미 해병대는 238대, 심지어 미 공군까지 400대 도입을 희망했던 이 고등전술항공기(ATA, Advanced Tactical Aircraft) 사업은 A-12의 성능이 요구도대로 나오지 않고, 최초 설계보다 크기가 30% 이상 커졌으며, 개발비가 지속적으로 초과해 미 해군 항공기 도입 예산의 70%까지 차지할 상황이 되자 1991년부로 전격 취소되었다.


<슈퍼 호넷>


결국 비용 문제로 후속 기체를 신규 개발하기보다는 기존 기체를 업그레이드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히면서 맥도넬-더글러스[1997년 보잉(Boeing)에 합병]는 기존 F/A-18 호넷(Hornet)을 기반으로 업그레이드한 ‘호넷 II’[이후 ‘슈퍼 호넷(Super Hornet)’으로 변경]를 제안했고, 그루먼[Grumman, 1994년 노스럽(Northrup)에 합병]은 기존 F-14 톰캣(Tomcat)에 기반한 설계를 제안했으나 후자는 베이스가 된 F-14에 비해 기술적 진보가 크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으며 탈락했다. 여기에 딕 체니(Dick Cheney) 국방장관은 미 해군의 주력 기체였던 F-14가 1960년대 기술로 만들어졌음을 강조하면서 1989년부터 추가 획득 예산을 삭감해 1991년부로 생산라인이 중단되었고, 1992년에는 공군의 F-22 랩터(Raptor)를 해군용으로 전환하려던 해군 고등전술전투기(NATF, Navy Advanced Tactical Fighter) 사업이 중단되면서 F/A-18 E/F ‘슈퍼 호넷(Super Hornet)’이 대체기종으로 선정되었다. 미 해군은 같은 해부터 약 49억 달러로 맥도넬-더글러스 사와 계약을 체결하면서 F/A-18 E(단좌)와 F(복좌)형 시제기를 제작했으며, 2000년부터 F/A-18 E/F는 실전 배치에 들어갔다.


<결국 후속 기체는 F/A-18C/D 호넷(사진)을 업그레이드한 슈퍼 호넷으로 결정되었다.>



특징

F/A-18C/D형의 업그레이드형인 F/A-18E/F 슈퍼 호넷의 시간당 비행 비용은 F-14 톰캣(Tomcat)에 비해 40%에 불과하다. 동체 크기는 20%가량 증가했고, 자체 중량(empty weight)은 3,175kg가량 증가했으며, 최대이륙중량은 C/D형에 비해 약 6,804kg가량 증가했다. 동체 길이도 약 34cm가량 길어진 대신 내부 연료탱크도 최대 33%가량 증가했고, 임무 범위도 41% 증가했으며, 내구성도 50%가량 향상되었다. 날개 면적 또한 25%(9.29㎡)가량 넓어졌으나 항공기 구성 파트 수는 기존 ‘호넷’ 형상보다 약 42%가량 적어졌다. 엔진 또한 11,000파운드의 F-404-GE-402 터보팬엔진에서 13,000파운드의 F-414-GE-400 터보팬엔진으로 교체되어 비행영역선도(flying envelope) 전체에 걸쳐 추력이 호넷에 비해 약 35%가량 향상되었다.



기본 F/A-18과 외형적으로 달라진 점은 인테이크(intake) 부분이 반원형에서 직사각형으로 바뀌면서 기체 전면부 RCS(Radar Cross Section: 레이더반사면적)를 낮췄으며, 주익 아래 하드 포인트(hard point)도 2개가 늘어나 11개가 되었다. 또한 앞전 스트레이크(LEX, Leading Edge Extension) 부분도 커져 받음각이 큰 기동 시에도 와류 양력 특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호넷에는 없던 공중급유 시스템(ARS)이 장착되어, 기체 하부에 대형 급유탱크를 설치하고 타 기체에 공중급유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로 미 해군의 경우 비행전대의 5분의 1이 급유기 역할을 수행하도록 지정되어 있는데, 이들 기체의 피로도가 타 기체보다 높아 수명 주기가 일반 슈퍼 호넷보다 짧은 편이다. F/A-18 E/F는 스텔스 기체는 아니지만 RCS를 최대한 낮추도록 설계했기 때문에 전면부 RCS는 약 0.1㎡ 정도다. 슈퍼 호넷 블록 I은 APG-73레이더를 탑재했고, 블록 II형 이후 모델과 그라울러는 AN/APG-79 능동형 전자주사식 레이더(AESA)를 탑재한다. 항전장비로는 ASQ-228 ATFLIR, ALQ-214(v) 재머(Jammer), AN/ALE-55 광섬유 견인식 디코이(Towed Decoy)가 장착되어 있다.




제원
제작사: 맥도넬-더글러스 / 보잉(1997~)
초도비행일: 1995년 11월 29일
승무원: 1명(E형), 2명(F형)
전장: 18.31m
전고: 4.88m
날개 길이: 13.68m
최대이륙중량: 29,937kg
최고속도: 마하 1.8+(약 1,915km)
실용상승한도: 50,000피트(15,240m)
항속거리: 2,346km
페리비행범위: 3,054km(480갤런 외장연료x3)
전투반경: 1,085km(Hi-Hi-Hi)
상승률: 228m/s 
추력대비중량: 0.93 
엔진: F414-GE-400 터보팬엔진(22,000파운드, 9,977kg)x2
무장: M61A1/A2 20mm 발칸x1, AIM-9 사이드와인더, AIM-9X, AIM-7 스패로우, AIM-120 AIM-120 AMRAAM, AGM-84 Harpoon, AGM-88 HARM, SLAM, AGM-84H/K SLAM-ER, AGM-65 매버릭(Maverick), JSAW(Joint Stand-Off Weapon), AGM-158 JASSM(Joint Air-to-Surface Standoff Missile), 합동정밀직격탄(JDAM), 데이터 링크 포드, 페이브웨이(Paveway) 레이저 유도식 폭탄 시리즈, CBU-78 게이터(Gator), CBU-87 CEM(Combined Effects Munition), CBU-97 센서신관식 폭탄(Sensor Fuzed Weapon), Mk-20 록아이(Rockeye) II 등
대당 가격: 9,830만 달러(2016년)


'밀리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72 전차  (0) 2017.12.19

+ Recent posts